본문 바로가기
백두대간(完)

백두대간3구간(복성이재~육십령)

by 엠삐라 2025. 2. 24.

백두대간 3구간 2010.7.8

 

최고봉: 백운산 1278.6m

산행코스: 복성이재~육십령(남진방향)

산행거리: 약31km

소요시간: 11시간30분소요

인원: 엠삐라

식수구할곳: 깃대봉밑 샘터,육십령매점

갈때:청주~자가용(육십령)

올때: 육십령(자가용)~청주

 

 

☞ 이 구간은 당일 치기로 다소 긴 구간이라 배낭을 최소화 하여 자유인님과 함께

자가용을 이용하여 엠삐라는 남진방향으로 육십령에서 복성이재까지

자유인님은 엠삐라보다 한구간 늦은 여원재~복성이재까지 따로 진행하여 복성이재에서 합류 하기로 한다. ☜

 

 

일월비비추(꽃말:신비한사랑) ♣

백합과 식물로 원산지는 한국이며 전국 산속 시냇가와 같은 습지나 석회암 지대에 분포해 있다.

4.5~5cm의 꽃은 8~9월에 피며 열매는 삭과로 10월에 결실을 맺는다.

 

큰 까치수염

까치수염의 꽃말은 어떤이는 "동심"어떤이는 "달성"(이룬다) 이라고들 한다.

꽃은 줄기 안쪽에서부터 피기 시작해서 줄기 바깥쪽으로 점점 피기 시작 한다.

6~8월에 흰 꽃이피고 한국,중국,일본,러시아극동부에서 분포하여 자생한다.

 

 

각시붓꽃(기별,존경,신비한사람)

삼국 시대가 끝날 무렵 황산벌에서 죽은 관창에게 "무용"이라는 정혼자가 있었는데,그가 죽자 마음을 바꾸지 않고 영혼 결혼을 했다고 합니다.

어떤 각시는 관창의 무덤에서 슬픈 나날을 보내다 홀연히 세상을 떠났는데,

사람들은 먼저 죽은 남편의 무덤옆에 그녀를 묻었다고 합니다.

이듬해 봄 보라빛의 꽃이 그녀의 무덤에서 피어 났는데 그 꽃이 각시의 모습을 닮았고,

함께 돋아난 잎사귀는 관창의 칼 처럼 생겼다고 하네요...

 

 

물레나물

평간(平肝),지혈,패독(敗毒),소종(消腫)의 효능이 있고,

두통,토혈,타박상,창절(瘡癤)을 치료 하기도 한다.

 

 

복성이재(들머리)

북진방향의 사진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사진 또한 역으로 편집하여 올렸다.

 

▲ 봉화산(919.8m)

 

봉화산(烽火山)은 장수군 번암면과,남원시 아영면,경남 함양군의 2개도,3개시,군의 경계에 위치하며

덕유산에서 지리산에 이르는

 

 

 

 

백두대간 남부구간의 중간 지점이자

광대치

 

 

월경산(981.9m)...

월경산은 광대치를 지나 백두대간 마루금에서 조금 벗어난

중치

 

 

 

중재(730m)

중치를 출발한지 삽십오분만에 이름이 비슷한 중고개재를 만난다.

으로(북진) 지도상에는 샘터 표시가 있는데.따로 샘터의 방향표지나 그

백운산(1278.6m)

 

흰 구름산이란 뜻의 백운산은 같은 이름의 전국 30여개 산은 전남 장수군 번암면과, 경남 함양군 백▲

선바위고개

영취산(1075.6m)

산세가 신령스럽고 빼어나다는 뜻의 영취산은 불교의 성지 고개 인도 마가다국 수도 왕사성에 전북 장수군 번암면과, 경남 ▲ 덕운봉

 

 

 

북바위봉(977m)

 

 

 

민령

 

구시봉(깃대봉)1014.8m

이곳은 신라와 백제의 국경지대로서 그 아래 주둔하고 있던 군사들이 기를 꽂았다 하여

깃대봉이라 불렀으나, 옛날 한 풍수가 이산에 올라 산의 형태가 구시형이라 하여

2006년 1월 6일 구시봉으로 지명이 변경 되었다.

이 봉우리의 동쪽은 추상천을 통해 낙동강으로, 서쪽은 장계천을 통해 금강으로 물이 흐른다.

 

 

 

 

 

 

 

육십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