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충청도산

용봉산(홍성)

엠삐라 2025. 3. 3. 16:21

 

용봉산(381m) 2013.10.5 맑음

 

※ 위치: 충남 홍성군

※ 산행코스: 용봉초교~용도사~용봉산~용바위(전망대)~구룡대(용봉산휴양림)

※ 산행거리: 약5.02km

※ 소요시간: 평균3~4시간 코스 이나 엠삐라는 시간이 남아 천천히 5시간

※ 고도정보: 최고384m,최저40m

※ 누구랑: 엠삐라

※ 올때: 용봉산휴양림(시내버스\1300)~홍성역(\3600)~천안역에서환승(\3300)~오근장역

 

홍성터미널에서 8시35분차로 (동진,동막행) 을 타고 15분만에 용봉초교앞에 도착한다.

홍성터미널에서 용봉산 까지는 4km정도..입구에서 문화재관람료(\1000)을 받는다.

오늘 일정은 용봉산에서 덕숭산(수덕산)연계 산행을 계획 했으나

용봉산 구석구석을 다니느라 시간이 부족할것 같아 용봉산에서 널널히 바위에서 낮잠도 자가며

17시58분에 집으로 돌아가는 열차시간을 맞춰 느긋이 진행한다.

 

 

 

▲ 용도사 ▼

 

홍성 상하리 미륵불(洪城 上下理 彌勒佛)

 

지정별: 유형문화재 87호

지정년월일: 1979년 7월3일

위치: 홍성군 홍북면 상하리 산 1-2

 

미륵불은 먼훗날 이땅에 출현하여 중생을 제도하는 미래의 부처이다.

이 미륵불은 용봉산(龍鳳山) 서쪽 기슭에 있는 절벽 밑에 우뚝 솟은 자연암석을 활용하여 조각한 입상(立像)이다.

머리는 정수리 부분이 평평하며, 귀는 직선으로 턱 밑까지 내려왔다.

가늘고 긴 눈,넓적하고 낮은 코,입은 비교적 작으나 얕게 평면 적으로 돋을새김한 은은한 미소는 자비로움이 잘 표현되어 있다.

신체는 얼굴에 비해 더욱 평면적이어서 가슴부분에 두 손을 아래위로 나란히 대고 있는데 오른손을 가슴에 대고 왼손은 약간 떨구었다.이외에 광배(光背)나 신광(身光).대좌(臺座) 등의 다른 부분은 생략 하였다.

고려 중기에 조성된 충청도 지방의 불상 양식이 잘 표현 되어 있다.

 

 

 

 

 

▲투석봉

 

▲ 용봉산(최고봉) 龍鳳山

홍성 8경중의 하나인 용봉산(龍鳳山)은 충남 홍성군 홍북면에 있는 산이다.

름은 용의 몸집에 봉황의 머리를 얹은 듯한 형상 인데서 유래되었다.

1991년 5월18일 자연휴양림으로 고시 되었고 산 및의 너른 뜰에 내포신도시가 조성되어 충청남도 행정의 중심지로 발전 하고 있다.

최영(崔瑩) 장군 활터

 

최 영 장군이 소년 시절에 애마의 능력을 시험하기 위해서 내기를 했다고 한다.

화살을 쏘아서 말이 빨리 가면 큰 상을 내리고,화살이 빠르면 말 너의 목을 치겠다는 내기였다.

말은 자신 있게 고개를 끄덕이며 대답했다.

소년 최 영은 말을 타고 건너편 남동쪽 5km 지점의 홍성읍에 있는 은행정 방향으로 화살을 쏘았다.

동시에 말과 함께 바람처럼 달렸다.

최 영이 말과 함께 단숨에 목적지에 도착 했지만 화살은 보이질 않았다.

최 영은 약속대로 사랑하는 애마의 목을 칼로 내려치는 순간 화살이 피융하며 지나가는 것이었다.

최 영은 자신의 경거망동을 크게 후회하며 뜨거운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나라를 위해 큰일을 하고자 약속했던 애마를 그 자리에 묻어 주었다.

지금도 홍성읍 국도변 은행나무 옆에 금마총 이라고 부르는 말 무덤이 있다.

여러분이 서 있는 이곳은 바로 최 영 장군이 무술을 연마하며 활을 쏘았던 곳이다.

 

 

▲ 가야산이 앞에보이고 가야산 앞으론 덕숭산(수덕사)도 함께 조망 된다.

▲노적봉▼

 

 

 

▲행운바위

 

악귀봉 ▼

물개바위

 

▲ 악귀봉에서 용바위로 내려서는 길에......출렁다리

 

▲ 삽살개 바위

 

 

▲악귀봉 바로밑.....전망대

 

▲ 두꺼비 바위

 

 

▲ 용바위 ▼

 

▲전망대에서 바라다 보이는 내포 신도시 전경 ▼

 

 

▲ 병풍바위 ▼

 

 

 

▲ 의자바위

 

▲ 용봉사

 

홍성행 시내버스를 타기 위해서는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하면 큰도로 사거리가 나오는데

현지주민에게 물으니 사거리 좌측에서 도로 노면에 버스라고 씌여진 곳에서 홍성행 방향으로 타란다.

보통 15분20분 간격으로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30~40분을 기다려도 예산교통 시내버스만 이사거리에서 회차하여 예산으로 향한다. 순간 사거리 에서 우측방향을 보니 홍주여객 버스가 지나가 버린다.

다시 돌아와 편의점에서 버스시간을 확인하고 사거리 우측으로 가서 기다리니 이번엔 좌측방향에서 온다.

▲ 뒤돌아본 용봉산 능선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